다빈치 리졸브 사용법 - 2강 전환 효과(트랜지션) 바꾸기

반응형

 

다빈치 리졸브(DaVinci Resolve) 16

전환 효과(트랜지션) 바꾸기

 

전환 효과(트랜지션)란 한 클립에서 다음 클립으로 변경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미 첫 강의에서 한 가지 전환 효과(트랜지션) 유형을 사용했습니다. 스트레이트 컷(Straight Cut)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환 효과(트랜지션)이지만 다른 전환 효과(트랜지션)도 있습니다. 본인은 잘 모를 수도 있지만 TV나 영화에서 많이 보던 것일 수 있습니다. 스트레이트 컷 이외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디오 전환 효과(트랜지션)는 크로스 디졸브(Cross-Dissolve)입니다. 이 전환 효과(트랜지션)를 사용하면 한 클립의 끝 부분과 다음 클립의 시작 부분 간 페이드(Fade)가 겹쳐집니다. 이는 시간 경과를 전달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컷 페이지에서 크로스 디졸브 효과를 만드는 방법과 다른 전환 효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완성된 요리를 측면에서 찍은 장면과 누들을 먹는 두 여성 사이의 마지막 컷을 재생합니다.

 

 

두 클립 간에 시간이 약간 경과하기 때문에 두 장면 사이에 크로스 디졸브(Cross Dissolve)를 사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장면을 전환하려는 컷 근처에 재생 헤드를 두면 쉽고 빠르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2. 타임라인의 마지막 컷 옆에 재생 헤드를 배치합니다. 스마트 인디케이터(Smart Indicator)가 마지막 컷 위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도구 모음에는 서로 다른 장면 전환 유형을 바꾸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세 가지 전환 버튼이 있습니다.

 

3. 도구 모음에서 크로스 디졸브(Cross Dissolve) 버튼을 클릭하여 장면 전환(트랜지션) 0.5초 크로스 디졸브(Cross Dissolve)로 바꿉니다.

크로스 디졸브(Cross Dissolve) 아이콘이 컷 지점의 타임라인에 추가되고 추가된 전환 효과(트랜지션)와 지속 시간이 표시됩니다.

 

4. 크로스 디졸브(Cross Dissolve) 앞으로 재생 헤드를 이동하고 타임라인을 재생하여 새 전환 효과(트랜지션)을 확인합니다.

 

기본으로 적용한 0.5초 디졸브 지속 시간이 모든 장면에 딱 맞아떨어지면 가장 좋겠지만 실제로는 그렇지가 않습니다. 일부 동작이 중단되거나 너무 오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유가 무엇이든 어느 시점에서 디졸브 지속 시간을 변경하고 싶을 것입니다. 가장 쉽고 간단한 방법은 타임라인에서 끌어서 움직이는 것입니다.

 

5. 마우스 포인터를 아래쪽 타임라인에 있는 전환 효과(트랜지션) 아이콘의 오른쪽 가장자리 위로 이동합니다.

마우스 포인터가 크기 조정 커서로 변경됩니다.

 

6. 전환 효과(트랜지션)의 오른쪽 가장자리를 바깥으로 끌어서 움직여 크로스 디졸브(Cross Dissolve) 지속 시간을 1분으로 연장합니다. 끌어서 이동할 때 나타나는 도구 설명은 전환 효과(트랜지션)의 각 면에 추가한 양과 현재 지속 시간을 보여줍니다.

 

7. 크로스 디졸브(Cross Dissolve) 앞으로 재생 헤드를 이동하고 재생하여 변경 사항을 검토합니다. 비디오 트랙 2에서도 클립의 전환 효과(트랜지션)를 바꿀 수 있습니다.

 

8. 재생 헤드를 다시 비디오 트랙 2의 마지막 컷 어웨이 근처로 이동합니다.

9. 도구 모음에서 크로스 디졸브(Cross Dissolve) 버튼을 클릭하여 장면 전환(트랜지션) 0.5초 크로스 디졸브(Cross Dissolve)로 바꿉니다.

 

10. 크로스 디졸브(Cross Dissolve) 앞으로 재생 헤드를 이동하고 재생하여 추가 사항을 검토합니다. 이 전환 효과(트랜지션)는 첫 번째만큼 효과가 있는 것 같지는 않지만 도구 모음 버튼을 사용하여 크로스 디졸브(Cross Dissolve)에서 컷으로 쉽게 바꿀 수 있습니다.

 

11. 다시 비디오 트랙 2의 위에서 찍은 클립의 시작 부분에 있는 전환 효과(트랜지션) 근처로 재생 헤드를 이동합니다.

 

12. 도구 모음에서 컷 버튼을 클릭하여 전환 효과(트랜지션)에서 다시 컷으로 바꿉니다.

모든 기능을 갖춘 위쪽 타임라인에서도 작업할 수 있습니다. 위쪽 타임라인을 사용하여 전환 효과(트랜지션) 아이콘을 끌어서 움직여 지속 시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작은 점프 컷 수정

세 전환 효과(트랜지션) 버튼 중 타임라인에 있는 세 번째 버튼은 스무스 컷(Smooth Cut)입니다. 스무스 컷(Smooth Cut)은 편집 시 생길 수 있는 작은 점프 것을 수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정교한 전환 효과(트랜지션)입니다.

 

1. 위쪽 타임라인에서 비디오 트랙 1의 두 번째 클립으로 이동합니다.

2. 클립의 시작 부분부터 끝나는 부분까지 재생합니다.

 

촬영 중인 출연자가 카메라 앞에 서는 것이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말을 더듬거나 반복할 수 있습니다. 말할 때 약간 실수한 부분을 제거하면 출연자를 더욱 프로처럼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요리사가 스파게티를 설명하는 중간에 "umm"이라고 하는 부분을 빼는 것이 훨씬 더 좋아 보입니다. , 이 부분을 컷 해보겠습니다.

 

3. 먼저 아래쪽 타임라인의 머리 부분에서 A1 트랙 옆에 있는 잠금(Lock) 아이콘을 클릭하여 실수로 음악 사운드 트랙을 컷 하거나 삭제하지 않도록 합니다.

4. 이제 아래쪽 타임라인의 시간 눈금자에서 재생 헤드를 끌어서 요리사가 "umm"이라고 말하기 직전에 배치합니다.

 

5. 도구 모음의 맨 왼쪽에서 분할(Split) 버튼을 클릭하여 타임라인의 현재 위치에 편집 내용을 추가합니다.

6. 시간 눈금자를 끌어서 움직여 재생 헤드를 요리사가 "umm"이라고 말한 이후로 배치하여 다시 편집합니다.

 

7. 아래쪽 타임라인에서 만들어진 작은 부분을 선택하고 삭제(macOS) 또는 백스페이스(Windows) 키를 눌러 해당 부분을 제거합니다.

비디오 트랙 1에서 클립을 삭제하는 것은 다듬기(Trimming)와 유사합니다. 항상 리플 삭제(Ripple Delete)하며 부분 제거 시 만들어진 간격을 클로즈업합니다.

 

8. 클립의 시작 부분부터 끝나는 부분까지 재생하여 작업한 내용을 보고 듣습니다. 사운드는 괜찮지만 삭제한 프레임이 누락되어 점프 컷이 생겼습니다.

 

: 점프 컷은 내용과 프레임이 매우 유사하게 보이는 두 클립 간 갑작스러운 전환을 말합니다. 점프 컷은 창의적인 표현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는 사람이 거슬려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피하는 편입니다.

 

9. 방금 만든 컷 근처로 재생 헤드를 이동합니다.

 

10. 도구 모음에서 스무스 컷(Smooth Cut) 버튼을 클릭하여 전환 효과(트랜지션)를 추가합니다.

스무스 컷(Smooth Cut)을 사용하면 두 클립 사이에 새 프레임을 생성하여 하나의 연속적인 클립을 보는 것처럼 장면 전환(트랜지션)이 부드러워집니다. 하지만 재생하기 전에 3~4 프레임 정도의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사용할 때 가장 잘 작동하므로 재생 시간을 변경해 보겠습니다. 다듬기(Trimming)와 같이 작고 정밀하게 변경할 경우에는 뷰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쉽습니다.

 

11. 위쪽 또는 아래쪽 타임라인에서 스무스 컷 전환 효과(Smooth Cut Transition)을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이제 뷰어에 다듬기 편집(Trim Edit) 컨트롤과 두 필름 스트립 간 스무스 컷 전환 효과(Smooth Cut Transition)이 표시됩니다. 뷰어의 컨트롤과 사용자를 안내하는 프레임 번호를 사용하여 전환 효과(트랜지션)를 끌어서 움직일 수 있습니다.

 

12. 필름 스트립의 4 프레임 표시가 나올 때까지 중앙을 향해 스무스 컷 전환 효과(Smooth Cut Transition)를 끌어서 이동합니다.

 

13. 전환 효과(트랜지션) 앞으로 재생 헤드를 이동하고 재생하여 스무스 컷(Smooth Cut)으로 만든 전환 효과(트랜지션)가 매끄러운지 확인합니다.

 

스무스 컷 전환 효과(Smooth Cut Transition)를 위한 완벽한 상황이기 때문에 점프 컷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최상의 결과를 얻으려면 두 개의 유사한 클립 사이에 미묘하지만 거슬리는 컷에 스무스 컷(Smooth Cut)을 사용하십시오. 클립이 많이 다른 경우 스무스 컷 전환 효과를 사용하면 내용과 프레임의 유사성을 찾아 매끄럽게 만드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이펙트 라이브러리(Effect Library)에서 전환 효과(트랜지션) 추가

 

다빈치 리졸브(DaVinci Resolve)에는 이 세 가지 전환 효과 버튼 외에도 다른 전환 효과가 있습니다. 다른 전환 효과(트랜지션)는 전환 효과(Transitions) 브라우저에서 추가할 수 있습니다.

 

1. 앞서 크로스 디졸브(Cross Dissolve)를 추가한 타임라인의 마지막 컷 옆에 재생 헤드를 배치합니다.

 

끌어다 놓기만 하면 스트레이트 컷 또는 기타 전환 효과 유형의 전환 효과 브라우저에서 전환 효과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2. 다빈치 리졸브(DaVinci Resolve) 창의 좌측 상단 모서리에 있는 전환 효과 버튼을 클릭합니다.

전환 효과(트랜지션) 브라우저는 스타일별로 분류된 다양한 전환 효과 목록입니다.

 

3. 상단 디졸브 카테고리에서 아래쪽 타임라인의 기존 크로스 디졸브(Cross Dissolve) 위에 Dip to Color Dissolve 전환 효과(트랜지션)를 끌어다 놓습니다.

4. 새 전환 효과(트랜지션)를 재생하여 변경 사항을 확인합니다.

 

Dip to Color Dissolve 전환 효과(트랜지션)는 전환 효과 중간에 새하얀 색으로 전환되는 크로스 디졸브(Cross Dissolve)입니다.

 

: 타임라인에서 모든 클립을 선택한 후 브라우저에서 전환 효과(트랜지션)를 오른쪽 클릭하여 "add to selected edit points and clips"(선택한 편집 지점 및 클립에 추가)를 선택하면 전환 효과 브라우저에서 전환 효과를 선택하여 한 번에 여러 컷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전환 효과(트랜지션) 유형이기 때문에 컷, 디졸브 및 스무스 컷 버튼을 가장 자주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모든 프로젝트에는 각기 다른 스타일이 요구되지 때문에 항상 창의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환 효과(트랜지션) 브라우저에서는 24개 이상의 각기 다른 옵션이 제공되어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습니다.